리액트에선 컴포넌트 선언 방식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첫 번째는 클래스형 컴포넌트와
두 번째는 함수형 컴포넌트이다.
현재는 대부분 함수형 컴포넌트로 개발을 진행하지만 과거 프로젝트를 마이그레이션 하거나 유지보수를 하기위해 클래스형 컴포넌트에 대한 개념을 알고 있으면 도움이 된다.
특징
클래스형 컴포넌트
1. class 키워드로 시작
2. Component로 상속 받음
3. render() 함수를 사용해서 JSX를 반환
4. props를 조회할 때 this 키워드 사용
함수형 컴포넌트
1. JSX를 return문을 사용해서 반환
2. state를 사용할 수 없다
3. 생명주기 함수를 작성할 수 없다.
마지막으로 두가지의 컴포넌트 선언 방식은 생명주기를 다룰때도 차이가 나는데
클래스형 컴포넌트는 this를 통해 생명주기를 다루며
함수형 컴포넌트는 useState와 useEffect를 이용하여 생명주기를 다루게된다
'WEB > React'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act] state는 왜 setState를 이용하여 변경해야될까 (1) | 2023.10.16 |
---|---|
[React] Hook이란? (0) | 2023.10.14 |
[React] Redux 설치 방법 및 세팅 (0) | 2023.01.09 |
[React] Axios 설치 방법 및 사용법 (0) | 2023.01.08 |
[React] useEffect (0) | 2023.01.08 |